본문 바로가기
세상이슈

"고금리, 고인플레이션, 저월급 시대 이렇게 살면 된다." 파월 : 인플레 높아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 긴축 정책, 잭슨홀 미팅

by 눈부신 세상속으로 2023. 8. 26.
반응형

세상뉴스

파월 "긴축 정책 유지해야… 필요시 기준금리 추가 인상"
인플레 잡힌다는 확신 들 때까지 기준금리 더 올릴 것
파월 “인플레 수준 여전히 높다… 긴축 유지”

한국중앙은행의 기준금리 그래프로 '22년7월부터 23년8월까지 월 별 증가 추세를 보임. 현재 3.5% 수준 유지중임
한국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월별 추세로 현재 3.5% 수준 유지중임

 

생각. 1 우리 지금 어떤 시대에 살고 있니? 

인플레이션과 고금리 시대다.
파월이 아직도 자국 내 인플레이션이 3% 수준으로 높다고 한다.

물가를 잡으려니 시중에 풀어놓은 돈을 긴축해야 하고, 금리를 높여 거둬들여야 한다는 것이지.

아내와 장 보러 마트에 다녀오면 피부로 느껴지는 물가는 상당히 높다.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23년 대략 5% 정도란다. 이것이 실제 오르는 금액이라면 세금 고려해서 우리는 연봉의 6% 이상은 매년 올라가야 겨우 지난해의 생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지속적인 투자처를 찾지 못한다면 저축하고 있는 돈은 계속해서 가치가 떨어지겠지.

들어오는 돈은 쥐꼬리만큼 오르고, 물가는 비싸서 생활비는 늘어났고, 대출받은 금리가 높아 이자비용은 더 커졌다. 

고로 남는 돈이 점점 줄어든다.

이런 시대에 살고 있다. 우리가!

 

생각. 2 미국 따라 한국도 올릴 것인가!

앞서 6월 연준은 올해 말까지 기준금리 전망치를 5.50~5.75%로 예상한 바 있다.

이는 현재 기준금리(5.25~5.50%)에서 0.25% 포인트 추가 인상이 가능하다는 뜻.

이 경우 한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는 최대 2.5% 포인트까지 벌어지게 됨.

오늘 새로운 적금을 토스에서 개설했다. 세전 5% 정기 적금으로 월 300만 원 최대 납입이다. 

원래 신한은행 3.4% 적금을 넣으려다가 1.6% 높은 토스로 결정했다.

미국보다 금리가 최대 2.5% 가 낮은 한국은행에 무엇하러 큰 돈을 넣어 두겠는가!
돈 다 빼서 미국에 투자하지.

시장의 충격.. 증시의 폭락.. 빚투 개인투자자들의 눈물.. 대출금 돌려 막으려 저축은행, 대부에 손 데기 시작하면 아수라장 되는 것은 시간문제임.

너무 소설을 쓴 것 같겠지만.. 예전 2007년도에 신용 1등급 대출이자가 7% 전후였다. 안오라는 법도 없다.

요새 젊은이들 10년간 금리 1~ 2% 내외 시대에 오래 살아서 아직 금리 7~8% 시대를 모르겠지만,

이게 가계 자금 운영에 얼마나 큰 부담이 되는지 모를 것임.

거의 이자 갚다가 세월 다 간다는 말이 이때부터 나옴.

한국도 한 차례 정도 더 올릴 수 있겠지. 그러나 서민은 지금 죽을 맛이거나 죽을 맛으로 가고 있다는 것은 명심해야 할 것.

 

 

생각. 3 이렇게 살면 된다.

 

그냥 앉아서 당할 수는 없지 않은가!

피땀 흘려 번돈은 하루 자고 나면 인플레이션으로 가치가 하락하고 있고, 돈은 더 많이 나가고, 더 적게 들어오는데..

뭐라도 해야 하지 않겠나?

 

첫째. 덜 써라

최소한 작년보다 올해 소비를 더 줄여라. 물론 먹고는 살되 더 싸게 동등 품질로 살 수 있는 소비재를 찾아 나서야 한다. 

외식 줄이고, 배민에 배달비 비싸게 주면서 시켜 먹지 말고, 알뜰살뜰 직접 장 봐서 집에서 밥 해 먹어야 함.

그 아낀 생활비로 추가 이자 부담을 충당해야 저축 감소를 막는다.

 

둘째. 단 10만 원이라도 현금흐름을 더 창출해라

더 좋은 방법은 주말에 알바를 하던,
회사에서 야근을 해서 야근비를 더 받던,
더 열심히 일해서 보너스를
더 받던
블로그를 운영해서 수익을 창출하던, 유튜브를 하던 뭐든 좋다

지금보다 조금 더 현금을 창출할 수 있게 돈을 벌어라.투잡이라도 해라.

 

셋째. 시중보다 높은 금리의 자산증식 시스템을 구축해라

부지런한 사람들.. 쫒아하라.

새벽잠 안 자고 예적금 고금리 한정 특판 나오면 귀신같이 줄 서서 가입한다.
그런 열정이라도 보여야 한다.

아니면 시중보다 높은 ETF 국내외 배당 투자를 배워서 물가상승률을 이기든, 투자를 하든 뭐든 자산 감소를 막아야 한다.

눈에 안 보이는 인플레이션과 전쟁 중임을 명심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