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원칙(Rule)

[Rule.7] '높은 것'이 있어야 '낮은 것'이 있다

눈부신 세상속으로 2022. 12. 14. 12:45
반응형
반응형

어떤 종목을 얼마에 매수하면 되나요?

 

관점을 조금 바꿔보도록 합시다.


"어느 가격구간대에서 매수해 나가면, 기다림의 시간이 가치있을 확률이 높을까?"


가격의 높고 낮음은 상대적인 의미입니다. 즉, 낮은 가격은 사실 혼자서는 사용할 수가 없지요. 그럼 무엇보다 낮아야 할까요. 주식 차트를 보다보면 기간에 따라서 가격구간이 다르게 나옵니다.

 

아래 KT 월봉차트를 보시면 2009년에서 2021년까지 최고가격이 51,700원, 최저가격이 17,250원 입니다. 만약 이 기간이 전부라고 한다면 여러분은 어느가격에서 낮은가격이라고 생각하시고, 매수를 하시겠나요.

 

대략 27,000원 정도면 몇 번의 지지가 있어 보이기도 하고, 그 가격정도면 매수할만 할수도 있겠습니다. 그럼 27,000원 이하 구간은 코로나로 인해 약 1년 넘는 시간으로 감수해야하는 기간이 되겠지요.

 

그러나 전체 기간중에 최 고점대비 50% 정도 떨어진 지점을 저는 낮은 가격이라고 생각하지는 않기에 본 종목은 매수금지 종목에 해당합니다.

KT 주가차트

 

그러나 아래는 동일한 KT 월봉 차트입니다. 전체 기간이며 2000년 이후부터 처음 199,000월을 찍은 이후 거의 10토막이 나서 17,250원 아래로 내려갔다가 반등하고 있는 중이군요.

 

전 이 종목을 낮은 가격으로 판단합니다.


'역사적 고점대비 10토막 정도면 낮은 가격으로 판단한다는 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