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Korean Market)

[하*******] 일회성 퇴직 인건비 충당으로 4분기 영업이익 감소, 주가는 3중 바닥형태~!! 연초 주가 향방 주목 - 하이트진로홀딩스

눈부신 세상속으로 2023. 1. 2. 12:36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편안한투자자' 입니다.

(별칭 : 개편안)

주식 고점대비 10토막, 저점대비 10배를 줄만한 종목을 찾고, 각 종목만의 특별한 가격구조를 찾아내어 공유합니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편안한 투자를 위한 마인드셋을 전파하는 블로거입니다.

 


1. 시장의 눈 (최근 뉴스)

 

하이트진로홀딩스 뉴스입니다. 2022년 4분기 일회성 비용이 지출되어 영업이익이 일시적으로 감소했다는 기사입니다.

비용은 퇴직금 충당금으로 인건비 성격의 지출었다고 하는군요.

글로벌이코노믹 뉴스입니다.

 

1. 하이트진로홀딩스 기업 및 현황

 

여전히 하이트진로 주류는 사랑받지요. 제가 젊은시절 가장 사랑했던 주류였으나 이제는 못 먹겠어서 위스키 마시고 있지만요.

 

하이트진로홀딩스 매출 및 수익성 현황은 좋다고 합니다.

 
개요 : 하이트진로의 참이슬
점유율 1위 지속
현황 : 매출 성장 및 수익성 상승
- 동사는 1933년 맥주 제조 및 판매 등을 영업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08년 7월 주류사업 부문을 하이트맥주로 분할하여 순수지주회사체제로 전환.
- 국내 소주시장의 경우 저도주 트렌드 지속으로 성장이 지속되고 있으며, 하이트진로의 소주부문은 점유율 1위를 지속하고 있음.
- 주요 종속기업으로 하이트진로(주), 하이트진로산업(주), 하이트진로음료(주), 블루헤런(주), Jinro Inc. 등을 보유하고 있음.
- 지주사업 부문이 부진하였으나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하이트진로의 주류 판매 증가한 가운데 판가 인상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 규모 확대.
- 매출 성장에 따른 판관비 부담 완화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률 상승, 영업수지 및 금융수지 개선으로 순이익률 역시 상승하였음.
- 자회사 하이트진로의 업소용 주류 수요 증가와 판가 인상으로 매출 성장이 기대외는 가운데 생수 판매 증가, 지주 부문의 성장 등으로 외형 확대 전망.

출처 : 나이스평가정보

 


 

2. 하이트진로홀딩스 주가 및 주가전망

 

주식은 역배열에서 사는 겁니까? 달리는 말에 올라타는 겁니까?

 

제가 예전에 모 전문가한테서 들었던 질문입니다. 이 질문에 답은 없을 듯 합니다.

다만 제대로된 종목을 매수 하였다면 수익률의 차이, 혹은 기다림의 차이, 수익권이냐 손실권이냐 그 시간의 차이 정도만 다를 뿐이고, 어디서 올라타든 상관은 없겠지요.

저는 대략 완전 역배열에 30%, 역배열에서 정배열로 치고가는 과정에 50%, 달리는 말(이미정배열) 20% 정도로 운영합니다. 다만 이것을 정확하게 지키기도 상당히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늘상 팔고싶은 종목, 사고싶은 종목이 생기기 마련이니까요.

대부분 정배열 보다는 역배열 혹은 횡보세에 진입하는 편이고, 그 이유는 아주 간단한데 '낮은 가격 구간'에서 마음고생을 덜 하기 위함입니다.

물론 바닥 아래 지하실, 지하실 아래 땅굴일 때도 더러 있지만, 그나마 '싸게 사는 것'만이 개인투자자가 주식투자에 성공할 수 있는 방편이라고 믿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서두가 길었네요.

 

하이트진로홀딩스 주가 - 3중바닥 형태

 

큰 가격 구조를 볼 것이 없이 2005년의 영광을 다시 찾으러 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그렇다면 지금 가격이 적정한가에 대한 결정이 남아 있습니다.

다음은 주요 가격 구조인데, 우선은 9200원은 터치 해 주어야 할 것이고 한번 더 아래 파랑 박스권안에 진입하여 놀고 있다면 좋은 진입구간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주요 가격이라고 하는 것은 그 지점에서 매수/매도를 하는 것이 아니고, 주가 관리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용으로 우선 사용됩니다.

주가를 관리하는 세력이 있다고 느낀다면, 저가에 있더라도 다시 상승할 것이라는 가정이 들어가 있다고 판단을 합니다.

그리고 주요가격을 중심으로 상승이나 하락의 맥점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보통은 주요가격을 돌파후 안착 하는 경우에 진입을 시도하는 편입니다.

아무도 관리하지 않는 주가는 결국 상폐이겠지요. 아니 상폐종목도 잘 보시면 마지막에는 무언가 먹고 터는 포이트가 포착되니, 결국 관리되지 않는 주식 혹은 주가는 없겠네요.^^

심리적 안정! 그것이 가능하리라 생각되는 가격에서 우위를 점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